로마서 강해⑰ 6장 15-23절, 의의 종노릇하라
6장 전반부(1-14절): 우리가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계속해서 죄에 거해야 하는가? -결코 그럴 수 없다! 6장 후반부(15-23절): 우리가 율법 아래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 있으니 이제 죄를 지어도 되느냐?(또 하나의 수사학적인 질문) -결코 그럴 수 없다! *‘그리스도인은 자신을 지배하는 죄의 권세가 깨어졌고, 따라서 죄 짓는 일에 위험성이 별로 없음으로 계속해서 죄를 지을까?’라는 관점에서 탐구. 한국사회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인간상이 등장했다. 1980년대 오렌지족, 야타족, 깡깡족에서부터 삼팔선, 사오정, 오륙도, 88만원세대, 된장녀, 초식남, 짐승남 등 시대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인간 집단이 나타나고 또 사라진다. 미국에서도 오바마 대통령을 당선시킨 1977년 이후에 출생한 ‘O..
2021. 10. 22.
로마서강해⑭ 5장 12-21절, 한 사람의 죄, 한 사람의 은혜-아담과 그리스도
개요 12절: 한 사람으로 인한 죄와 사망이 들어옴이 모든 사람이 죄와 사망에 이르게 됨 13절: 율법 있기 전에도 죄가 있었다, 하지만 그땐 죄를 죄로 여기지 않았음 14절: 모든 인류에 사망이 왕노릇함, 왜냐면? 아담은 오실 자의 모형 15절: 한 사람의 범죄로 인해 모든 사람이 죽음,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말미맘은 선물은 많은 사람에게 더욱 넘침 16절: 한 사람의 범죄, 심판, 정죄, 하지만 은사는 한 사람으로 말미암았지만, 의롭다하심 17절: 한 사람의 범죄: 사망이 왕노릇, 한 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생명의 왕노릇 18절: 한 범죄로 정죄, 한 의로운 행위로 의롭다하심을 받아 생명에 이르게 됨 19절: 한 사람의 순종치 아니함-많은 사람이 죄인됨, 한 사람의 순종함- 많은 사람이 ..
2021. 10. 20.
서신서 석의-식주인(xevno, 크세노스)
아래자료는 바이블렉스에서 찾은 자료 입니다. 참고하세요 xevno"(3581, 크세노스) 낯설은, 외국의, 낯선 사람, 외국인.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형용사 크세노스(Homer 이래)는 기본어이며, (a) 형용사로는 '낯설은' strange, '외국의' foreign, (b) 명사로는 '낯선 사람' stranger, '외국의' alien를 의미한다. 「참고: (a) 원시 사회에서 낯선 사람은 원래 적으로 보았다. 이는 그가 어떤 사람인지를 잘 알지 못하므로 나쁜 사람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상호간의 두려움과 상호간의 저항이 이방인에 대한 태도이자 그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지닌 태도의 특색이다. 낯선 나그네들은 종종 법의 보호에서 벗어나 있었고, 죽임을 당하거나 주술적 관습의 위협을 받아 내..
2021. 10. 17.